분류 전체보기40 [Mylog]개발자가 블로그를 쓰는 이유 내가 블로그를 만든 이유 그 순간의 기억을 기록하고 싶어서 지식을 공유하고 싶어서 나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을 써보는 습관을 들이고 싶어서 이렇게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개발을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인 구글링! 구글링을 하며 일을 하다 보면 가끔 전에도 같은 문제로 검색해서 해결한 적이 있었던 경우가 있다. 해결이 됐으니 기록하지 않고 넘어가 버릇하다 보니 이렇게는 안될 것 같아 나만의 블로그에 하나 둘 적어가기 시작했다. 티스토리를 선택한 이유 큰 장점이 있어 티스토리로 결정한 것은 아니다. 나는 이런저런 사이트 써보며 비교해서 정착하고 이런 성격은 아닌 지라 검색을 해보았을 때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고, 나 역시 구글링 하면서 자주 만났기 때문에 선택했다. 처음 시작할 때의 목.. 2022. 8. 18. [JavaScript] 배열에서 임의의 값 가져오기 💡 Math.floor Math.random let strArr = ["A","B","C", "D"]; let selectString = strArr[Math.floor(Math.random() * strArr.length)]; Math.random() 함수는 0~1 사이의 임의의 숫자를 반환한다. 그 숫자에 배열의 길이를 곱해주면 배열의 숫자 속 임의의 값을 반환한다. 2022. 8. 14. [CSS]font-size 속성 크기 단위 px 웹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크기 단위, 고정된 값이다. rem html 태그의 크기를 기준으로 배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는 단위 em 부모 요소의 크기를 기준으로 배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는 단위 em은 부모 요소에 10px의 폰트 사이즈가 적용되어 있다면 1em은 10px이다. 2em은 20px이 된다. rem은 html 태그의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본 16px로 적용되어 있다면 1 rem은 16px이 된다. 웹을 개발할 때 px보다 em/rem을 사용하는 이유 고정적인 px값은 사용자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크기에 따라 요소가 적절하게 반응하기를 원한다면 px보다는 re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vw vw는 화면의 가로 크기와 관련 있다. .. 2022. 8. 14. [Mongodb] database, collection, document 생성하기 database 생성 >use databaseName // > use testdb use를 사용하여 새로운 DB를 생성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중인 DB 확인 >db // > db 처음 db를 생성하면 test database를 사용한다. database 목록 확인 >show dbs // show dbs mongodb는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한 개 이상의 Document(=record)가 있어야 리스트에 나타난다. database 제거 >use 삭제할 db //db.dropDatabase() collection 생성 >db.사용할DB.createCollection(name, [option]) // db.testdb.createCollection(”firstCollection”) // testdb에 .. 2022. 8. 10. [Windows] 사용중인 포트 번호 삭제 windows terminal 실행 cmd 창에서 netstat -a -o 실행 제거할 포트 번호의 pid 복사 cmd 창에서 taskkill /f /pid 복사한 pid 번호 taskkill /f /pid 12312 2022. 8. 2. [css] 색상 단위 (rgba rgb) 그동안의 프로젝트는 주로 hex 코드 위주로 작업을 해왔는데 이번 프로젝트는 유독 rgb 색상으로 작업을 해서 rgb와 rgba의 차이를 정리해보았다. 색상 표현 방식 Hex 코드 단위 : #000000 RGB 색상 : rgb(red, green, blue) RGBA 색상 : rgba(red, green, blue, alpha) rgb와 rgba의 차이 점 rgb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약어이다. 이 rgb 값에 alpha(=투명도) 값을 추가한 것이 바로 rgba이다. 투명도는 음수가 아닌 0~1 까지의 값으로 0에 가까울수록 투명해진다. 투명도의 경우 opacity를 사용하여 적용 가능하나 이는 자식 요소까지도 영향을 준다. 때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며 된다. 2022. 7. 31.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