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기본적인 메서드이지만 은근히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정리해두려 한다
JS에서 배열이나 문자열을 자를 때 자주 사용하는데 비슷한 개념과 함께 정리했다.
slice()란
slice()는 배열이나 문자열에서 원하는 구간을 잘라내어 새로운 배열(또는 문자열)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문법
slice(start, end)
- start: 시작 인덱스 (포함)
- end: 종료 인덱스 (불포함)
end 부분에 들어가는 인덱스는 불포함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let num = ['0', '1', '2', '3', '4', '5', '6'];
console.log(num.slice(0,4)); 0번인덱스부터 3번째까지 출력 0123
let string = "JavaScript";
console.log(string.slice(-3)); // -3은 뒤에서 3번째부터 끝까지 ipt
음수 인덱스도 사용 가능하여 뒤에서부터 자를 수도 있다.
내가 자주 헷갈렸던 부분은 splice() 와의 차이점인데 slice()는 복사본, splice()는 원본 변경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
메서드 | 설명 | 원본!!!! |
slice() | 일부를 복사하여 새 배열 생성 | ❌ |
splice() | 일부를 제거/추가하여 수정 | ✅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parseInt() vs Math.ceil() 차이 정리 (0) | 2025.04.06 |
---|---|
[JavaScript] Math.floor()와 Math.trunc() 의 차이 (0) | 2025.04.06 |
[JavaScript] 삼항 연산자 (Ternary Operator) 정리 (0) | 2025.04.06 |
[JavaScript] sort 정렬 사용하기 (0) | 2023.02.09 |
[Jquery] 값 설정하는 val()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