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JavaScript] parseInt() vs Math.ceil() 차이 정리

by bright17 2025. 4. 6.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면서 이 둘의 개념이 헷갈려 정리해 본다.

함수 주 사용 목적은 아래와 같다.

parseInt()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Math.ceil() 소수 포함 숫자를 올림 처리

 

기본 개념

parseInt(): 문자열 → 정수

parseInt()는 문자열에서 정수 부분만 추출해서 반환한다.

소수점 이하 숫자가 있더라도 정수만! 자른다.

parseInt("123.45");   // 123
parseInt(4.7);        // 4
parseInt("10px");     // 10
parseInt("abc123");   // 이 경우 시작이 숫자가 아니여서 NaN을 반환한다.

숫자형 데이터를 넣으면, 내부적으로 문자열로 변환한 뒤 정수로 처리한다. 즉 시작이 숫자여야 함

 

Math.trunc()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듯 뒤를 잘라버리기 때문에

Math.ceil(): 올림 처리

Math.ceil()은 숫자의 소수점이 존재할 경우 무조건 올림 한다.

즉, 해당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하죠.

Math.ceil(4.1);    // 5
Math.ceil(4.9);    // 5
Math.ceil(-4.1);   // -4
Math.ceil(-4.9);   // -4

음수일 경우도 ceil은 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올린다.

 

실제로 둘은 크게 차이가 나지만 내가 푼 문제에서 둘 다 사용가능하여 한번 정리하고 간다!